반응형
부동산 임대계약 관련해서 임대인(집주인, 건물주, 상가주 등)이 임차인의 계약갱신 요구를 거절할 수 있는 사항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임차인이 3기의 차임액에 달하도록 차임을 연체한 사실이 있는 경우
2. 임차인이 거짓 그 밖의 부정한 방법으로 임차한 경우
3. 쌍방 합의하에 임대인이 임차인에게 상당한 보상을 제공한 경우
4. 임차인이 임대인의 동의 없이 목적건물의 전부 또는 일부를 전대한 경우
5. 임차인이 임차한 건물의 전부 또는 일부를 고의 또는 중대한 과실로 파손한 경우
6. 임차한 건물의 전부 또는 일부가 멸실되어 임대차의 목적을 달성하지 못할 경우
7. 임대인의 다음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사유로 목적건물의 전부 또는 대부분을 철거하거나 재건축하기 위하여 목적건물의 점유를 회복할 필요가 있는 경우
① 임대차계약 체결 당시 공사시기 및 소요기간 등을 포함한 철거 또는 재건축계획을 임차인에게 구체적으로 고지하고 그 계획에 따르는 경우
② 건물이 노후, 훼손 또는 일부 멸실되는 등 안전사고의 우려가 있는 경우
③ 다른 법령에 따라 철거 또는 재건축이 이루어지는 경우
8. 그 밖에 임차인이 임차인으로서 의무를 현저히 위반하거나 임대차를 존속하기 어려운 중대한 사유가 있는 경우
반응형
'부동산 이야기 > 지식(知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시개발계획 수립시 필수로 포함 되어야 하는 내용은? (0) | 2021.05.31 |
---|---|
반사회질서의 법률행위(민법 제103조) 해당 여부 사례 (0) | 2021.05.24 |
사용검사, 사용승인, 준공인가 어떤 표현이 맞을까요? (0) | 2020.09.02 |
지목이란 무엇이고 구분은 어떻게 되나요? (0) | 2020.07.05 |
임대인의 수선·유지의무는? (민법 제623조, 상가임대차보호법, 주택임대차보호법) (0) | 2020.06.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