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6. 26. 18:14
반응형

 

https://youtube.com/shorts/wWQKr3k93RM

 

□ 남양주 왕숙지구 개요

남양주 왕숙지구는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진건읍, 양정동 일원에 조성되는 수도권 3기 신도시 중 최대 규모의 신도시입니다.

□ 주요 특징

▷ 규모: 총 6만6천 가구 공급 예정으로 3기 신도시 중 가장 큰 규모 KhanKharn

▷ 구성: 왕숙1지구(938만㎡, 5만2천 호)와 왕숙2지구(239만㎡, 1만4천 호)로 구분 [KHARN칸] 6.6만호 규모 남양주 왕숙신도시 착공

▷ 분양: 2025년 5월께 첫 분양 예정 남양주 왕숙, 3500가구 분양…9호선 연장 수혜 | 한국경제

입주: 왕숙1지구 2027년 3월 첫 입주 목표 왕숙신도시 착공식, 왕숙1지구 2027년 3월 첫 입주 목표 - 구리남양주뉴스

▷ 교통 인프라:

지하철 9호선 연장선 2031년 개통 예정 남양주 왕숙, 3500가구 분양…9호선 연장 수혜 | 한국경제

GTX 등 광역교통망 연결 계획

▷ 주택 공급:

청년과 무주택 서민을 위한 뉴:홈 2만5천 가구 포함 '6.6만 가구 규모' 남양주 왕숙 신도시 착공…"2026년 입주 목표"

다양한 계층을 위한 주거 공간 제공

현재 착공이 완료되어 본격적인 개발이 진행 중이며, 수도권 주택 공급 확대와 서민 주거 안정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반응형
Posted by 힘차게달려라
2025. 6. 7. 09:50
반응형

 

대한민국 상가 공실 문제

"여러분이 오늘 집 앞 상가를 지나오면서 몇 곳이 비어있는 걸 보셨나요? 지금 대한민국 상가 10곳 중 1곳이 텅 비어있습니다. 이것은 단순한 경기 침체의 문제가 아닙니다."

"2025년 현재 전국 상가 공실률은 10퍼센트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특히 세종시는 24.1퍼센트, 울산은 20.6퍼센트로 심각한 상황입니다. 이는 정상적인 자연 공실률 3~5퍼센트의 두 배를 훨씬 넘는 수치입니다.
하지만 숫자보다 더 중요한 것은 이 문제가 우리 경제 전체에 미치는 파급효과입니다. 상가 공실은 단순히 건물주의 문제가 아니라, 자영업자의 창업 기회 감소, 지역 상권 위축, 그리고 지역 경제 전체의 활력 저하로 이어지는 악순환의 시작점이기 때문입니다."

"그렇다면 왜 이런 일이 일어났을까요? 세 가지 주요 원인이 있습니다.
첫째, 구조적 변화입니다. 온라인 쇼핑이 확산되면서 오프라인 매장의 필요성이 줄어들었습니다. 이는 마치 자동차가 등장하면서 마차가 사라진 것과 같은 불가역적 변화입니다.
둘째, 공급과 수요의 불균형입니다. 많은 지역에서 실제 수요를 고려하지 않고 상가를 과도하게 공급했습니다. 특히 신도시나 재개발 지역에서 이런 현상이 두드러집니다.
셋째, 비현실적인 임대료입니다. 신축 상가들이 건설비 회수를 위해 높은 임대료를 책정하면서 자영업자들의 진입을 어렵게 만들었습니다. 자영업자들은 보통 매출 대비 임대료 비중을 10~15퍼센트 이하로 유지하려고 하는데, 높은 임대료는 이를 불가능하게 만듭니다."

"그렇다면 앞으로 어떻게 될까요? 2025년 한국 경제는 1.7~2퍼센트의 저성장이 예상되어 단기적으로는 상황이 쉽게 개선되지 않을 것 같습니다.
하지만 중장기적으로는 희망적인 신호들이 보입니다. 금리 인하와 소비심리 개선이 내수 회복을 이끌 수 있고, 특히 AI와 IT 인프라 투자 확대가 새로운 성장 동력이 될 수 있습니다.
더 중요한 것은 상가의 역할 자체가 변하고 있다는 점입니다. 성공하는 상가들을 보면 단순히 물건을 파는 공간에서 경험을 제공하고 커뮤니티를 형성하는 공간으로 진화하고 있습니다. 성수동이 제조업 쇠퇴 지역에서 문화와 예술의 중심지로 변모한 것이 좋은 예입니다."

"그렇다면 이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요? 3단계 접근이 필요합니다.
첫 번째는 똑똑한 공급입니다. 새로운 상가를 개발할 때는 그 지역 주민들의 나이, 소비 패턴, 생활 동선을 철저히 분석해야 합니다. 젊은 직장인이 많은 곳에는 카페와 편의점이, 고령층이 많은 곳에는 병원과 약국이 더 적합합니다.
두 번째는 현실적인 임대료입니다. 높은 임대료로 오랫동안 공실을 유지하는 것보다 적정한 수준으로 조정해서 안정적인 임차인을 확보하는 것이 장기적으로 더 유리합니다.
세 번째는 정부의 지원입니다. 공실 상가에 대한 세제 혜택이나 지역별 맞춤형 상권 활성화 정책을 통해 시장의 자생력을 키워나가야 합니다."

 "위기는 기회의 다른 이름입니다. 지금의 상가 공실 문제를 슬기롭게 해결해 나간다면, 우리는 더 효율적이고 지속가능한 상권 생태계를 만들어갈 수 있습니다.
변화에 적응하고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상가들이 늘어날 때, 우리 지역 경제도 다시 활력을 되찾을 것입니다."

 

https://youtu.be/kfQNNoLvYbM

 

반응형
Posted by 힘차게달려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