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57조 (근저당】 ① 저당권은 그 담보할 채무의 최고액만을 정하고 채무의 화정을 장래에 보류하여 이를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그 확정될 때까 지의 채무의 소멸 또는 이전은 저당권에 영향을 미치지 아니한다. ② 전항의 경우에는 채무의 이자는 최고액 중에 산입한 것으로 본다.
(1) 의의 및 성질
① 의의: 근저당권이란 계속적인 거래관계(기본계약)로부터 발생하는 불특정한 장래의 채권을 일정한 한도액(최고액)까지 담보하기 위하여 설정하는 저당권이다.
② 성질
㉠ 부종성의 완화: 근저당권은 장래의 증감변동하는 불특정의 채권을 담보하므로 피담보채권이 일시소멸하더라도 기본계약이 존속하는 한 근저당권은 소멸하지 않는다.
㉡ 피담보채권의 불특정성: 원본이 확정될 때까지는 어느 채권이 담보되는가는 특정되지 않는다. 즉, 근저당권은 최고액의 한도 내에서 불특정의 채권을 담보하는 저당권이다.
(2) 근저당권설정등기
① 근저당권설정등기에는 등기원인이 근저당권 설정이라는 취지와 채권의 최고액 및 채무자를 기재하여야 한다.
② 근저당권의 존속기간이나 기존 거래관계의 결산기에 관한 약정은 등기하지 않아도 된다.
(3) 효력
① 피담보채권의 범위
㉠ 계속적 거래관계에서 발생한 채권이 최고액을 초과하면 최고액만을, 최고액에 미달하면 그 확정액만을 우선변제받을 수 있다.
㉡ 지연배상은 1년분에 한정하지 않고 최고액에 포함되는 이상 모두 담보된다.
㉢ 저당권 실행비용은 최고액에 포함되지 않는다.
㉣ 채권 총액이 최고액을 초과할 경우 채무자가 임의변제할 때에는 채권액 전부를 변제하여야만 근저당의 말소를 청구할 수 있으나, 물상보증인이나 제3취득자는 최고액만을 변제하고 근저당의 말소를 청구할 수 있다.
㉤ 최고액은 책임의 한도가 아니라 우선변제의 한도액에 해당한다.
② 근저당권의 변경
㉠ 근저당권의 변경에 있어서 최고액을 증액하거나 존속기간을 연장하는 경우에는 후순위 권리자의 승낙을 얻어야 한다.
㉡ 채무의 범위나 채무자가 변경된 경우에는 당연히 변경 후의 범위에 속하는 채권이나 채무자에 대한 채권만이 당해 근저당권에 의하여 담보된다.
③ 피담보채권의 확정
㉠ 피담보채권이 확정되면 더 이상의 채권액의 증감변동은 없으며, 이후부터 근저당권은 부종성을 가지게 되어 보통의 저당권과 같은 취급을 받게 된다. 따라서 피담보채권이 확정된 후에 채권액이 증가하였더라도 그 부분은 담보되지 않는다.
㉡확정 전에 발생한 원본채권으로부터 그 확정 후에 발생하는 이자나 지연손해금채권은 최고액 범위 내에서 여전히 담보된다.
㉢ 피담보채권의 확정사유
ⓐ 존속기간 만료 내지 결산기 도래
ⓑ 기본계약의 종료(해지)
ⓒ 채무자의 파산 또는 회생절차의 개시
ⓓ 경매신청
<피담보채권의 확정시기>
1. 근저당권자가 스스로 경매를 신청한 경우 - 신청시 확정)
- 근저당권자가 피담보채무의 불이행을 이유로 경매신청을 한 경우에는 경매신청시에 근저당권이 확정되고 근저당권이 확정되면 그 후에 발생한 원금채권은 그 근저당권에 의하여 담보되지 않는다 할 것이다.
- 경매신청을 하여 경매개시결정이 있었다면 경매신청이 취하되었다고 하더라도 채무 확정의 효과가 번복되는 것은 아니다.
2. 후순위 근저당권자가 경매를 신청한 경우 - 매각(경락)대금 완납시 확정
- 후순위 근저당권자가 경매를 신청한 경우 선순위 근저당권의 피담보채권은 그 근저당권이 소멸하는 시기, 즉 경락인이 경락대금을 완납한 때에 확정된다고 보아야 한다.
'부동산 이야기 > 지식(知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택임대차보호법 최우선변제보증금이란? (0) | 2021.12.03 |
---|---|
부동산 계약금에 대해 알아볼까요? (0) | 2021.12.02 |
부동산 담보물권의 성질은? (0) | 2021.11.29 |
무권대리란 무엇인가요? (0) | 2021.11.27 |
도시개발계획 수립시 필수로 포함 되어야 하는 내용은? (0) | 2021.05.31 |